티스토리 뷰

반응형

우리나라 출산율은 통계청 발표 기준 2022년 역대 최저인 0.78명을 기록했으며, OECD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정부는 지난 16년간 저출산 대응을 위해 약 280조 원의 예산을 썼지만 출생아 수는 계속 줄어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출산율 (통계청, 연합뉴스)


그럼에도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해 출산율을 높이는 지원을 아낄 수 없기에 임신과 출산 혜택 밒 지원금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혜택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임신 시기부터 아이가 태어나서도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혜택 5가지에 대해 정리했으니 신청해서 챙겨가시기 바랍니다.




1. 임신바우처


임신확인서를 받으면 누구나 임신바우처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먼저 국민행복카드를 신청해야 합니다. 국민행복카드는 조리원, 백화점, 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 사용처가 다양합니다. 또한 출생 후 첫만남이용권이라는 지원금도 받으려면 미리 신청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곳에서



- 지원대상 : 임산부 누구나
- 지원금액 : 단태아 100만 원 / 다태아 140만 원
- 사용기간 : 최대 2년
- 지원내용 :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영유아 진료비가능)
- 지원형태 :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형태로 지원



2. 출산장려금


출산 시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지원금으로 지차제마다 지원 내용이 다릅니다. 정확한 지원금액은 해당 시군구 홈페이지를 확인하거나 주민센터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www.childcare.go.kr/web/board/BD_board.list.do?bbsCd=9091

 

임신육아종합포털아이사랑 > 출산 > 출산지원금                  (목록)

출산지원금 순산을 위한 모든 정보, 출산노하우부터 궁금증 해결까지 "아이사랑"이 도와드리겠습니다.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출산 출산지원금 --> <!-- -->

www.childcare.go.kr

 



3. 첫만남이용권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에게 지원되며, 200만 원의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형태로 지급됩니다. 한 명당 200만 원씩 쌍둥이라면 400만 원, 세 쌍둥이라면 600만 원. 이런 식으로 늘어납니다.

- 지원대상 :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 지원금액 : 출산 시 아이 1명당 200만 원 지원
                  (쌍둥이 400만 원)
- 사용기간 : 출산 후 1년까지
- 지원형태 :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형태로 지원


4. 부모급여 (기존 영아수당)

0~23개월 아이를 양육하는 부모에게 주는 수당으로 소득에 관계없이 누구나 받을 수 있습니다. 2023년부로 기존 영아수당에서 부모급여로 대체되었습니다. 24년 출생자부터는 지원금액이 더 늘어납니다.

다만 어린이집 보육료와 중복지원이 되지 않습니다. 민약 어린이집을 다닌다면 보육료를 제외한 금액이 입금됩니다.

- 지원대상 : 0~23개월 아이
- 지원금액 : 22~23년생 만 0세 70만 원 / 1세 35만 원
                  24년생부터 만 0세 100만 원 / 1세 50만 원
- 지원형태 : 현금
- 어린이집 중복지원 안되며, 어린이집 다닐 경우 보육료 제한 금액 지원


 

5. 양육수당


아이가 24개월이 되면 부모급여에서 양육수당으로 변경됩니다. 개월 수에 따라서 금액이 달라집니다. 가정양육수당의 개념으로 가정에서 보육을 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지원금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닐 경우는 모두 보육료로 전환됩니다.

- 지원대상 : 24개월 ~ 만 7세 초등학교 입학 전 2월까지
- 지원금액 : 0~11개월 월 20만 원
                   12~23개월 월 15만 원  
                   24~86개월 월 10만 원
- 지원형태 : 현금
-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다닐 경우 보육료로 전환


6. 아동수당


만 8세 미만의 아동들에게 월 10만 원씩 현금으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어린이집, 유치원 등원 여부와 소득에 관계없이 누구나 받을 수 있습니다.

- 지원대상 : 0개월 ~ 만 8세 미만 (95개월) 아이
- 지원금액 : 월 10만 원
- 지원형태 : 현금
-어린이집 유치원 보육료와 중복 지원


위 수당들은 행복복지센터, 정부 24, 복지로 등에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출산 관련 혜택 놓치지 말고 받으시기 바랍니다.


 

 

서울 육아휴직 장려금 240만원 신청하기

 

서울 육아휴직 장려금 240만원 신청 방법

서울시 육아휴직 장려금 사업은 서울시는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가사돌보미, 서울엄마아빠택시 등과 같이 추진되는 사업입니다. 서울형 육아휴직 장려금은 육아휴직 사용에 따른

simguani.tistory.com

 

 

 

서울 아이 조부모, 친인척 돌봄비 30만원 신청하기

 

서울 아이 조부모, 친인척 돌봄비 30만원 자격 및 신청 방법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부모님이나 친인척들이 아이를 돌봐주는 가정이 많습니다. 서울시는 2023년 9월부터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와 조카 돌봄을 돕는 삼촌, 이모, 고모 등 4촌 이내의 친인

simguani.tistory.com

 

반응형